-
부천심리상담센터 아이의 관심 받기 위한 행동이 점점 과격해진다면, 팅커벨 증후군심리상담 2024. 10. 2. 09:38
아이의 관심 받기 위한 행동이 점점 과격해진다면, 팅커벨 증후군
혹시 어릴 적에 들어보았을, ‘팅커벨’을 기억하시나요?
동화 ‘피터팬’에는 팅커벨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하죠. 이 팅커벨은 어린아이와 같이 발랄하며 천진한 모습으로 작고 귀여운 요정입니다. 또 팅커벨은 항상 피터팬 곁에 있어 주는 존재이기도 해요. 그렇기에 웬디로 인해서 자신에 대한 피터팬의 관심이 줄자, 웬디에게 심한 질투심을 갖게 되는데요. 심지어 웬디를 홀대하고 피터팬과 갈라놓기 위해서 음모를 꾸미기까지 해요.
이처럼 부모 또는 주변 사람의 관심을 받으려고 일부러 사고를 치거나, 못된 말을 하는 아이들이 있어요. 오늘은 관심받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말썽을 피우는 아이, 팅커벨 증후군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팅커벨 증후군이 뭔가요?
팅커벨 증후군(Tinker Bell Syndrome)은 일반적으로 부모님이나 주변 사람에게 관심을 받지 못할 때, 그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서 충동적이고 그릇된 행동까지 서슴지 않고 하는 행동을 말해요. 보통 주목받기 위해서 어린 시절부터 수다스럽고 활동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하는데요. 심한 경우 부모님의 관심을 끌려고 일부러 말썽을 피우며, 짜증 내고 고집을 부리기도 합니다.
왜 아이에게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건가요?
아이의 자존감이 낮고 주변 사람에게 의존하려는 성향이 강하면 발생할 수 있어요.
이 증후군을 겪는 아이는 현재 자존감이 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을 잃어 남에게 자신의 일을 의지하고자 하는 습관이 형성된 결과가 이런 행동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부모에게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면, 아이는 부모의 애정을 갈구하게 되죠.
부모의 시선에 들기 위해서 처음에는 작은 장난을 시도하지만, 점차 그 장난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게 되면 이대로 부모의 사랑을 받지 못할까 봐 걱정과 불안에 휩싸이게 됩니다. 또는 반려견이나, 동생이 생겨 평소 자신이 받았던 주목을 다른 대상에게 빼앗겼다는 생각이 들어 그 상대를 지속적으로 괴롭히고 질투하게 되죠.
사회성이 아직 형성되지 않아서 보이는 모습일지도 몰라요.
사회성은 신체와 정신이 고르게 발달하며 형성되는데요. 따라서 이 증후군이 나타나는 아이는 신체가 성장하는 속도에 비해서 마음의 성장이 더디어, 아직 부모로부터 독립적이지 못한 경우일 수 있어요.
마음의 성장이 늦은 아이는 부모에게 정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고 싶어 하죠.
그래서 아이는 지금 어떤 상황인지 개의치 않은 채, 부모님과 주변의 관심을 끌려고 애쓰며, 사람들 사이에서 자신이 중심이 되어야 만족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요. 그렇다 보니 팅커벨 증후군이 있는 아이는 본인의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기보다, 과장되고 과격한 모습을 드러내는 경향이 있어요. 이런 성향은 조기에 개선하도록 도와주지 않으면, 그대로 습관으로 굳어 성인이 되어서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팅커벨 증후군은 틱장애와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등을 동반할 위험이 있어요.
팅커벨 증후군 증상이 있는 아이에게 나타나는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갑자기 반복적인 행동을 하거나 소리를 내는 것인데요. 이런 틱 증상은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시작되며, 잠깐 증상의 정도가 줄어들거나 더 심해질 수 있어요. 또 이 증후군은 심한 경우에 ADHD, 학습장애, 강박, 우울, 불안 등의 다른 정신질환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따라서 아이의 정상적인 성장을 위해서 초기에 발견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죠.
어떻게 하면 이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까요?
아이에게 관심과 사랑을 적극적으로 표현해 주세요.
밤에 잠자리에 들기 전에 꼭 안아주며 아이에게 사랑한다고 말하거나, 아이가 잘한 일에는 바로 칭찬해 주는 것이 좋아요. 또 아이가 하는 사소한 행동이나 새로 생긴 습관에도 관심을 표하고 충분히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아이의 지금 감정 상태에 대해서 소통하고 유심히 관찰해야 합니다.
요즘 아이의 생활에 문제가 없는지, 다른 친구와의 관계는 어떤지, 지금 어떤 마음 상태인지 관심을 두고 아이와 자주 대화하며 아이의 마음이 안정되도록 도와야 해요.
팅커벨 증후군이 발생하는 원인은 아이마다 다 다르기에, 치료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맞춤형 계획이 필요해요.
또 사회생활과 일에 고되다 보면, 모든 시간을 아이에게 향할 수도 없지요. 따라서 아이가 팅커벨 증후군이 의심된다면 전문가를 찾고 상담받으시길 권합니다.
아이의 욕구가 올바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 몸의 성장만큼 마음도 바르게 성장하고 있는지 살펴주세요.
아이는 어른보다 자신의 마음을 논리적으로 표현하지 못하죠. 따라서 평소 행동에서 아이가 성장에 맞는 욕구를 갖고 있고, 그것이 지금의 생활에서 충족되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아이의 마음이 건강하게 성장하는데 혹시 방해되는 요소가 있는지 냉철하게 분석하고, 방해하는 원인이 있다면 아이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서 바로잡을 수 있도록 유해피가 돕겠습니다.
유해피인스타그램 바로가기
▼ ▼ ▼ ▼ ▼ ▼ ▼ ▼ ▼ ▼
https://www.instagram.com/youhappymore/
페이스북 바로가기
▼ ▼ ▼ ▼ ▼ ▼ ▼ ▼ ▼ ▼
'심리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파잠실심리상담센터 반복적으로 현실을 부풀려 생각한다면, 과대망상 (7) 2024.09.25 동탄심리상담센터 전화를 받는 게 두려워 망설이는 MZ 세대, 콜 포비아 (0) 2024.09.11 광주심리상담센터 요즘, 나는 얼마만큼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까? (1) 2024.09.04 분당심리상담센터 기분이 시도 때도 없이 순식간에 바뀌는 순환성 기분장애 (0) 2024.08.28 일산심리상담센터 부부 간의 성격 차이 갈등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까요? (1) 2024.08.21